본문 바로가기
Data Science

[HTML/DJANGO 웹개발 기초] GET, POST 방식 차이 예시

by 한입만쥬 2023. 7. 5.

HTML GET, POST 방식 차이

GET/POS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은 웹개발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부분 중 하나입니다. 이걸 이해하고 있어야 Django 웹 개발을 할 때 훨씬 수월하더라고요! 

 

웹페이지 개발을 할 때 언제 GET 방식을 쓰고, 언제 POST 방식을 써야 할까요?

우선 GET방식과 포스트 방식에 차이점 그리고 장단점에 대해서 간략히 나열해 보겠습니다!

 

1. GET 방식

  • GET 방식은 서버로부터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됩니다.
  • 브라우저에서 URL에 데이터를 첨부하여 요청을 보냅니다. 요청한 데이터는 URL의 쿼리 매개변수(query parameters)로 전달됩니다. 그렇기 때문에 주소 값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값이 표시됩니다. 데이터가 보이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할 수 있겠죠!! 보안이나 데이터의 중요도가 낮은 경우에 사용된다는 것을 기억하면 됩니다.
  • 데이터가 주소 값에 표시 되기 때문에 길이 제한이 있습니다.
  • 데이터 전송 속도는 POST 방식보다 빠릅니다.

HTML GET 방식 사용 예시:

  • 검색 기능
  • 뉴스 기사

 

2. POST 방식

  • POST 방식은 보통 서버로 데이터를 제출할 때 사용됩니다!
  •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HTTP 요청 본문(request body)에 포함하여 서버로 보냅니다.
  • POST 요청은 데이터의 길이나 형식에 제한이 없습니다.
  • POST 요청은 브라우저의 주소 표시줄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.
  • GET 방식과는 다르게 주소 값의 전달되는 값이 표시되지 않고 데이터가 보이지 않으므로 보안에 우수합니다. 또한 POST 요청은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기 때문에, 민감한 정보(비밀번호, 신용카드 정보 등)를 전송할 때 사용됩니다.
  • 데이터를 전달 할 때 HTML부분 안에 포함시켜서 서버에 전달합니다.
  • 데이터에 길이 제한이 없고 복잡한 형태의 데이터도 전송 가능합니다.

HTML POST 방식 사용 예시:

  • 사용자 로그인
  • 사용자 등록
  • 데이터 수정
  • 데이터 업로드

이게 아주 기초적인 내용인데 처음에 배울 때 그냥 넘어갔다가 django에서 사용할 때 애 먹을 수 있으니 처음부터 잘 익히고 있기! Django 배우면서 또다시 복습하게 된 건 제 이야기..ㅎ